...++
=


예전에 쓴 글 읽어보다가 블로그 오랜만에 마실갔는데. http://sape.tistory.com/27

그 이후로 나는 '이상한 애'로 낙인 찍혔다. 왜 대중문화에 섞이지 못하면 반사회적이고 비사회적인 사람으로 찍혀야하나?
여기서 수많은 개인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한 말이 목까지 튀어올랐지만 그냥 참았다. 말해봐야 소용이 없다는 사실은 진작에 알았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악의가 있든 없든간에 대중문화는 사회의 공통적인 화제로 정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런게 싫은 나는 대체 어찌해야하는가. 그런 것들을 피하기 위해서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을 팽개치고 산으로 들어가야하나?
상상해보자. 한 여인이 춤판에서 한복을 입고 들어서서 전통 무용을 추며 노래를 부른다. 노래만 듣는다면 정말 아름다운 우리 가락이다. 그러나 한복 특유의 절제와 비 자극적인 것은 '에이, 저게 뭐야~' 소리를 듣기 딱 좋다,
그러나 갑자기 배경이 클럽의 스탠딩 플로어로 바뀌면서 이 한복을 입은 젊은 여인은 한복을 쫙~ 찢어버리며 미니스커트로 만들고 옷을 훌렁~ 벗어 재껴 반 나체 차림으로 관능적인 춤을 춘다. 와~~ 인기 만점이다. 또 어떤 특별한 춤을 추면, 그것은 곧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를 차지한다.
상당히 복잡다양한 문제현상들이 총체적으로 일괄서술돼 있어서 하나하나 뜯어봐야 될 글.
  1. 실은 나도 불만이다. 난 인기가요 안 듣는다. 팝도 안 듣는다. 광고음악 괜찮은 거 있으면 찾아내고, 주로 모던워십, 뉴에이지(취향 조합이 대단한데?), OST(혹 경음악) 위주로 듣는다. 어찌나 인기가요에 관심이 없었던지, 초딩 때 언젠가 동년배와 노래방을 가야 될 일이 있을 텐데 하고 걱정했던 나다. 그래서 처음 산 (테이프)앨범은? 거리의 시인들 2집.
  2. 저번 학기에 배운 피에르 부르디외가 문득 떠오른다. 그에 따르면
    - 학교의 기능은 사회의 집단적 유산을 개인적이며 공통된 무의식으로 전환시키는 것이고, (설명해 보자면, 학교로 대표되는 또래들의 사회적 학습공간에 있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모두가 좋아하는 것을 자기만의 취향으로 이해하게 된다는 말 정도가 된다.)
    - 음악에 대한 기호만큼 그 사람의 계급을 명확하게 확인시켜 주는 뚜렷한 기준은 많지 않으며, (말하자면 무슨 음악을 즐겨 듣는지만 보면 사람의 견적이 나온다는 말일 것이다.)
    - 예술 작품에 대해 우리가 취하는 태도는 자발적, 개인적인 것이라기보다 교육과정의 사회적 산물이다. 예술에 대한 태도는 문화 자본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무산자(약간 변용해석하여 여기서는 소수자라고 보자) 계급의 젊은이가 성공에 이르는 길에서 당면하는 장벽은 물질의 불평등뿐 아니라 '문화자본의 결여'라고 말한다.
    난 개인적으로 부르디외를 배우면서 무엇보다 '오인 매커니즘'이라는 개념을 아주 인상적으로 배웠지만, 또 보면 그는 문화 자본의 상징적 폭력에 대해 아주 빡세게 기술하고 있다. 아마도 자기 취향의 음악을 누가 굉장히 욕한 적이 있었던가 보다. ㅎㅎ
  3. 대중문화 담론은 논술 문제집에 늘 나온다. 우리가 '우리 스스로의 문화'라고 여기는 것들이 실은 공산품이 아닌가? 그렇다면 무의미한가? 그렇다면 무엇이 바람직한가? 평범한 소년 소녀들은 "대중문화를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기르면 되지 않을까요?"라고 답하겠지만, 그 답안지 점수를 매기는 부르디외는 과감하게 낙제점을 그을 것이다.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고 내 그렇게 강조했는데!"
  4. 한동안 사태는 역전되지 않는다. 앞으로도 세상은 여전히 '보기 싫으면 보지 마라'라고 윽박지를 것이다. 대중문화 자본들은 입력 대비 산출량만 많으면 그만이므로, '중독성 있는(노래가 명곡이면 괜찮은데 그렇지도 않고 그냥 뽕끼를 인위적으로 넣은 아주 구역질 나는)' CM송을 양산할 것이고, (제니퍼가 뾰로롱 하고 사진 합성하듯) 되도 않는 퓨전들을 찍어낼 것이며, 소수의 예술과 소수의 취향은 'TV특종 놀라운 세상(TV들이 보기에나 별난 종자들이지, 왜, 별나면 안 되나?)'의 소재로 계속 돌려막기될 것이다.
  5. 그런데 내 예견엔 그렇게 머지 않아서, 예언하건대 나 죽기 전에 뒤집힐 것이다. 대중 문화는 마치 석유 세계가 언젠가 끝나듯 끝날 것이다. 내 시나리오는 이렇다. 소재가 떨어진 매체자본들이 대중문화를 직접 생산하는 데에서 소수 문화를 식민하기 시작한다. 하나하나 히트칠 것이다. 그러나 그쯤 되면 '소재 자결주의' 비슷한 물결이 일어날 것 같다. 이게 무슨 망상인진 모르겠지만, 두고 보자. 아무튼 어떤 형태로든 몇십 년쯤 지나면 바뀌기 시작할 것 같다.
  6. 사패 씨, 그렇잖아도 요새 포스팅할 깜이 없어 힘들던 차에 감사합니다. 용기있는 뻘포스팅 무지개빛 우리 세상 (←동성애 지지 표어 아님)

P.s
실천이성(행동의 이론에 대하여)(문예신서297) 상세보기
피에르 부르디외 지음 | 동문선 펴냄
이 책은 피에르 부르디외가 자신의 과학적 연구를 정당화하기 위해 구축해야 했던 인류학적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철학자로 행동하는 것을 부인함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본질적인 철학적 문제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다루었다. 또한 회고적 해설이 드러내는 개념적 설계는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업적들 가운데 하나를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나타나게 해준다.

요거는 음... 그냥 좋아 보여서 나중에 읽어볼라고.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고 싶은 건 너무 많은데  (6) 2008.07.14
눈이 회까닥 뒤집히는 기사  (11) 2008.07.14
David Gray, "Alibi"  (0) 2008.06.30
Fast Food Nation (패스트푸트의 제국, 2006)  (4) 2008.06.25
이것이 김전일 T셔츠다!  (0) 2008.06.19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7)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3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7)
4 생각을 놓은 (71)
5 외치는 (76)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