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으로 검색해 들어오시는 분들께 알려드립니다. 아마도 이 글에는, 현대카드 정태영 CEO의 트위터 아이디 말고는, 여러분이 기대하고 계실 만한 그런 내용이 없습니다. 몹시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포스팅인 관계로 웬만하면 그리 열심히 읽지 마세요.
@diegobluff
어제 저녁 아현감리교회, @Campusworship 미션데이였다.
모든 2부 순서가 끝나고 @campus7000님이 나서서 빌립보서 3장으로 도전을 주고 있었다.
"영원한 것을 위해 영원하지 않은 것을 버리는 것은 어리석음이 아니다", "진짜 비극은 남들이 다 원하는 좋은 직장 좋은 가정 좋은 애완견 좋은 집에서 호의호식하다가 지옥 안 가는 것이다", "자기가 복음 전하다가 고생한 것이 자랑이 되어야지 천국 가서 내 애완견 좀 보시라고 자랑해서야 되겠는가" 등등 '내가 너를 세운 데는 이유가 있다' 정도의 사명을 받은 헌신의 사람이 아니면 요즘 세상에 어디 가서 함부로 하기 어려운 도전이 이어지고 있었는데, 나는 웬일로 터지는 와이파이에 감사하며 그 설교 와중에 몰래 트위터를 흘끗흘끗 쳐다보다가 왠지 배가 아파져서 더 이상 앉아 있지 못하고 결국 예배당을 나와 화장실로 내려갔다.
무심코 들고 간 휴대폰을 켜 들고 트위터를 틀었다. 이따금 올라오던 그의 새 트윗이 보였다.
나는 배가 고프면서 아팠고, 예배는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자꾸 포기하고 자꾸 세상복락을 배설물로 여기라는 말씀이 한창 이어지는 중이었다. 그런 내게 마치 '학생, 거기서 뭐 하는 거야. 그게 행복이냐. 날 봐. 이게 행복이야.' 하고 참 알맞은 타이밍에 걸쭉하게 약올리는 것 같았다. 솔직히 그랬다. 게다가 정말로 행복해 보였다.
그래서 그냥 간단히 메모나 해 두려고(관심글 하기도 싫고 RT도 싫고 뭣보다 그렇게 하면 그가 나를 봐 버릴 거 같아서) 인용만 했다.
예배 시작하면 당연히 휴대전화 끄고 성경책 꺼내 펴서 절대 졸지 않고 화장실도 안 나가던 내가 어쩌다 이 지경까지 됐지? 내 신앙은 어쩌다가 내 주님이 제시해 주시는 행복 이야기를 듣다 말고 빠져나와서 현대카드/현대캐피탈 최고경영자라는 사람의 행복을 엿보고 부러워하는 지경이 되었던가?
폰을 끄고, 뒤를 닦고, 예배당으로 돌아가 순서를 모두 마치고, 그제서야 껐던 폰을 다시 켜서 대답했다. 그의 악의 없는 자랑이 올라온 지 한 시간 후였다.
그날 밤 생각났다. 예전에도 그에게 멘션을 해서 답을 못 받은 적이 있었다.
그는 현명하고 박학한 사람이고 나름 융통성도 있어서, 안 그럴 것 같은 회사를 경영하면서도 개인적으로 트위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로 하여금 일말의 기대를 갖게 만들었다. 그래 내가 경제를 부전공하고 있는데 이런 트위터러가 있을 것 같으면 그 말을 귀기울여 한 번 들어보자, 하고.
그 말이란 이런 것들이다.
그렇게 SERIceo.org 가면 쌔고쌘 이야기와 정서와 세계관이 이어지다가, 문득 내게 실마리 내지는 일말의 희망 비슷한 것으로 보였던 트윗이 있었다.
비웃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난 이 질문이 정말 절박하다. 만약 그를 만날 수 있다면 그의 반박과 반론을 진지하게 듣고 배울 것이다(그게 숱한 거시경제학 강의보다 백 배는 배움이 많을 것 같다).신용카드라는 게 없어도, 아니 '금융'경제 자체가 없어도 인간 생존이 굴러갈 수 있지 않느냐고 하면 그건 그렇게 무식한 혹은 과대망상적인 물음인가? 모세는 아예 이식을 취하지 말라고 했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것이 이런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일지도 모른다.
자기가 듣고 싶었고 그래서 대답해 주고 싶은 말이나 자기를 알아주는 것 같은 말에는 분 단위로 반응하면서도, 지금껏 쌓아올린 자기 관점과 성과와 방향에 의문을 제기해야 하는 물음 그러므로 이르건 늦건 대답 자체를 해서는 안 되는 물음에 대해서는 못 들은 체하는 것. 이는 본인도 시인하는 바다.
정태영 씨는 아마도 이 블로그를 발견할 것이다. 내가 멘션과 이 포스트 URL만 적어서 보내 놓을 것이다. 만약 그가 그 뒤에도 일체 응대가 없다면, 트위터 팔로잉은 그냥 계속하되, 앞으로 평생 4현대카드와는 작별이다. 그가 지휘해서 만들어진 바 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를 갑으로 하고 나를 을로 한다는 어떤 종류의 서류에도, 내 이름 적어주지 않을 생각이다. 대답하지 않는 트위터러를 봇이라고 한다―차라리 봇이라면 낫겠다. 봇은 인간적인 관리자라도 명시돼 있지. 대답하지 않는 트위터러가 제시하는 쿨과 가치와 행복관에 서명해 줄 오른손은 없다.
그리고 그는 내가 그렇게 영원한 것을 좇아가는 행복을 추구하건 말건 닥터 드레 헤드폰으로 쇼스타코비치를 들으면서 이번엔 어떤 혹하는 광고 카피를 만들어 볼까 따위를 고민하고 살 테지. 마치 로저 회장과 마이클처럼.
P.S. 메타리뷰라고 달기에는 너무 열폭했었네요. 그래서 생각을 놓은 글로 갑니다. 좋은 지적입니다. 근데 여전히 창피하거나 후회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럴 생각도 없어요. 창피해해야 할 사람이 있다면, 타임라인이 한미FTA로 들끓을 때, 누가 봐도 수많은 사람의 손익 계산의 중심에 있는 분이고 그걸 스스로 모르시는 게 아닐 텐데, 여태 그렇게나 활기차게 트윗을 하다가도 우연찮게 중국 출장이 바빠서 찬성이고 반대고 뭐고 일체 묵비하고 계시는 어느 사장님이 창피해하셔야겠지요.
@diegobluff
어제 저녁 아현감리교회, @Campusworship 미션데이였다.
모든 2부 순서가 끝나고 @campus7000님이 나서서 빌립보서 3장으로 도전을 주고 있었다.
"영원한 것을 위해 영원하지 않은 것을 버리는 것은 어리석음이 아니다", "진짜 비극은 남들이 다 원하는 좋은 직장 좋은 가정 좋은 애완견 좋은 집에서 호의호식하다가 지옥 안 가는 것이다", "자기가 복음 전하다가 고생한 것이 자랑이 되어야지 천국 가서 내 애완견 좀 보시라고 자랑해서야 되겠는가" 등등 '내가 너를 세운 데는 이유가 있다' 정도의 사명을 받은 헌신의 사람이 아니면 요즘 세상에 어디 가서 함부로 하기 어려운 도전이 이어지고 있었는데, 나는 웬일로 터지는 와이파이에 감사하며 그 설교 와중에 몰래 트위터를 흘끗흘끗 쳐다보다가 왠지 배가 아파져서 더 이상 앉아 있지 못하고 결국 예배당을 나와 화장실로 내려갔다.
무심코 들고 간 휴대폰을 켜 들고 트위터를 틀었다. 이따금 올라오던 그의 새 트윗이 보였다.
나는 배가 고프면서 아팠고, 예배는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자꾸 포기하고 자꾸 세상복락을 배설물로 여기라는 말씀이 한창 이어지는 중이었다. 그런 내게 마치 '학생, 거기서 뭐 하는 거야. 그게 행복이냐. 날 봐. 이게 행복이야.' 하고 참 알맞은 타이밍에 걸쭉하게 약올리는 것 같았다. 솔직히 그랬다. 게다가 정말로 행복해 보였다.
그래서 그냥 간단히 메모나 해 두려고(관심글 하기도 싫고 RT도 싫고 뭣보다 그렇게 하면 그가 나를 봐 버릴 거 같아서) 인용만 했다.
Happiness? “@ 1diegobluff: 국립현대미술관 신축자문위원(저도 호칭 헷갈림@_@)이라서 회의를 핫하게 끝내고 혼자서 걷는 덕수궁 밤길이 너무 좋다. 던킨도너츠 한입 물고 커피도 한잔.”그런데, 5분이 지나지 않아, 내 예상을 180도 뒤집어엎고 그가 여기에 답을 했다.
15시간 전 via Twitter for iPhone
예배 시작하면 당연히 휴대전화 끄고 성경책 꺼내 펴서 절대 졸지 않고 화장실도 안 나가던 내가 어쩌다 이 지경까지 됐지? 내 신앙은 어쩌다가 내 주님이 제시해 주시는 행복 이야기를 듣다 말고 빠져나와서 현대카드/현대캐피탈 최고경영자라는 사람의 행복을 엿보고 부러워하는 지경이 되었던가?
폰을 끄고, 뒤를 닦고, 예배당으로 돌아가 순서를 모두 마치고, 그제서야 껐던 폰을 다시 켜서 대답했다. 그의 악의 없는 자랑이 올라온 지 한 시간 후였다.
그날 밤 생각났다. 예전에도 그에게 멘션을 해서 답을 못 받은 적이 있었다.
그는 현명하고 박학한 사람이고 나름 융통성도 있어서, 안 그럴 것 같은 회사를 경영하면서도 개인적으로 트위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로 하여금 일말의 기대를 갖게 만들었다. 그래 내가 경제를 부전공하고 있는데 이런 트위터러가 있을 것 같으면 그 말을 귀기울여 한 번 들어보자, 하고.
그 말이란 이런 것들이다.
현카의 단기유동성 대응력이 다른 카드사의 두배 이상이라는 기사. 03년 위기에 월1,000억씩 적자가 나면서 절망의 벼랑끝에 몰렸던 트라우마는 지금도 생생하다. 카드의 경쟁력은 올리고 심사와 펀딩은 철저히 해서 전체리스크를 관리해야한다는 믿음.
요즘 유행하는 소위 VIP마케팅에 관련되는 분들을 만나면 고객의 안목이 얼마나 높다는 걸 말하는 분들이 많다. 그런데 VIP고객의 안목이 얼마나 깊다는걸 또는 깊어야하는지 말하는 분은 별로 만나보지 못했다. 그래서 겉도는 거다.
미래에는 반대로 몸에 지방축적이 필요없는 쪽으로 진화할거고 두뇌에서 고기선호도가 낮아지겠네요. 역시 채식주의는 미래의 식단이죠^^
요즘 유행하는 소위 VIP마케팅에 관련되는 분들을 만나면 고객의 안목이 얼마나 높다는 걸 말하는 분들이 많다. 그런데 VIP고객의 안목이 얼마나 깊다는걸 또는 깊어야하는지 말하는 분은 별로 만나보지 못했다. 그래서 겉도는 거다.
미래에는 반대로 몸에 지방축적이 필요없는 쪽으로 진화할거고 두뇌에서 고기선호도가 낮아지겠네요. 역시 채식주의는 미래의 식단이죠^^
그렇게 SERIceo.org 가면 쌔고쌘 이야기와 정서와 세계관이 이어지다가, 문득 내게 실마리 내지는 일말의 희망 비슷한 것으로 보였던 트윗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그럼 당신은 금융의 본질이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그 감을 좀 잡을 수 있을까요?"라고 영어로 물어보았고(나는 진지하고 정중했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도 일언반구 대답이 없다.신용카드에 관한 글이 신문에 나오면 자세히 읽게된다. 가끔 본질이나 금융을 모르고 쓰여진 경우가 있어서 어디부터 반론을 해야할지조차 모르겠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나도 남의 업을 이런 식으로 오해하고 있었겠지 생각하면 넘어갈만하다
비웃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난 이 질문이 정말 절박하다. 만약 그를 만날 수 있다면 그의 반박과 반론을 진지하게 듣고 배울 것이다(그게 숱한 거시경제학 강의보다 백 배는 배움이 많을 것 같다).신용카드라는 게 없어도, 아니 '금융'경제 자체가 없어도 인간 생존이 굴러갈 수 있지 않느냐고 하면 그건 그렇게 무식한 혹은 과대망상적인 물음인가? 모세는 아예 이식을 취하지 말라고 했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것이 이런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일지도 모른다.
자기가 듣고 싶었고 그래서 대답해 주고 싶은 말이나 자기를 알아주는 것 같은 말에는 분 단위로 반응하면서도, 지금껏 쌓아올린 자기 관점과 성과와 방향에 의문을 제기해야 하는 물음 그러므로 이르건 늦건 대답 자체를 해서는 안 되는 물음에 대해서는 못 들은 체하는 것. 이는 본인도 시인하는 바다.
정태영 씨는 아마도 이 블로그를 발견할 것이다. 내가 멘션과 이 포스트 URL만 적어서 보내 놓을 것이다. 만약 그가 그 뒤에도 일체 응대가 없다면, 트위터 팔로잉은 그냥 계속하되, 앞으로 평생 4현대카드와는 작별이다. 그가 지휘해서 만들어진 바 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를 갑으로 하고 나를 을로 한다는 어떤 종류의 서류에도, 내 이름 적어주지 않을 생각이다. 대답하지 않는 트위터러를 봇이라고 한다―차라리 봇이라면 낫겠다. 봇은 인간적인 관리자라도 명시돼 있지. 대답하지 않는 트위터러가 제시하는 쿨과 가치와 행복관에 서명해 줄 오른손은 없다.
그리고 그는 내가 그렇게 영원한 것을 좇아가는 행복을 추구하건 말건 닥터 드레 헤드폰으로 쇼스타코비치를 들으면서 이번엔 어떤 혹하는 광고 카피를 만들어 볼까 따위를 고민하고 살 테지. 마치 로저 회장과 마이클처럼.
P.S. 메타리뷰라고 달기에는 너무 열폭했었네요. 그래서 생각을 놓은 글로 갑니다. 좋은 지적입니다. 근데 여전히 창피하거나 후회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럴 생각도 없어요. 창피해해야 할 사람이 있다면, 타임라인이 한미FTA로 들끓을 때, 누가 봐도 수많은 사람의 손익 계산의 중심에 있는 분이고 그걸 스스로 모르시는 게 아닐 텐데, 여태 그렇게나 활기차게 트윗을 하다가도 우연찮게 중국 출장이 바빠서 찬성이고 반대고 뭐고 일체 묵비하고 계시는 어느 사장님이 창피해하셔야겠지요.
P.S.2 "유명 트위터리안과 연예인들에게 멘션 두 번씩 보내보시고 나면 아마 님은 그들 중의 99%를 싫어하시게 될 거 같네요ㅋ"라는, 정말이지 일차적이다 못해 무성의한 지적. 죄송합니다, 제가 너무 글을 어렵게 썼죠? 이 글은 그런 우연한 일화의 구조를 차용하여 대상의 속성과 그에 대한 필자의 감정의 정체를 주관적으로 탐색해 보는 글이고 따라서 그 해프닝 자체의 내용엔 아무 중요함이 없답니다. "모두가 다 세련됐다고 하는 그 사람을 왜 나는 미덥지 못하다고 어렴풋이 느낄까"가 이 글의 주제란 말씀입니다. 이렇게 말해야 좀 알아들으려나? 이게 신문기사가 아니라는 fact를.
- "행복?" 혹은 "행복일까?" 라는 의미에서 쓴 표현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본문으로]
- 계급은 식단 중 채식과 육식의 비중에서도 드러난다.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 [본문으로]
- Modern Times라는 현대카드의 신문 형태 소식지. 얼마 전에 바로그찌라시와 오버랩되면서 내게 좌절감을 안겨 줬던 그의 또 하나의 '작품'이다."공부 많이 했습니다." 헤, 우연이네요, 저도 인쇄라든가 간행물 등록 절차 등을 공부하고 있거든요. [본문으로]
- 내 트위터 TL이 너무 사회주의적으로 쏠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그런 차원의 효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그는 유효하다. [본문으로]
'4 생각을 놓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 시청 습관 10문 (0) | 2012.03.04 |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 (0) | 2012.01.27 |
신촌의 문화생태론 (2) | 2011.10.21 |
기자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0) | 2011.08.27 |
생각 두 개 (0) | 201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