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우리 주변에서 이상스러울 정도로 누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자주 듣는다. 연예인은 고사하고 심지어 주변인의 주변인조차 자살하기 일쑤다. 옛날엔 그나마 '자살사이트'가 사회문제로 여겨질 만큼 자살이 괴한 일이었다. 그런데 어느샌가, 마치 구렁이가 담 넘듯 가랑비에 옷 젖듯 네이버가 IE 점령하듯 자살이 '보편화'되더니 '익숙한' 일이 되었다.
이거 왜 이럴까? 왜 하필 갑자기 이러는 걸까? 삶에 대한 사회통념이 어그러진 때문이다.
옛날 만화나 영화 등을 보면 좀 낯간지럽긴 하지만 '내 가장 큰 밑천은 젊음이야'라는 대사로 절망을 이기는 주인공들이 많이 있었다. 그것이 당대 사회, 아니 지금껏 우리가 지녀 왔던 통념이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논하자면,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자신들의 인생에 최소한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또, 자신들의 가능성과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다못해 떳떳한 인생을 살기 위해서라도 인생에는 부단한 노력과 반드시 거쳐야 할 역경 등이 필요함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것은 교육이 가르치지 못한다. 사회가, 문화가, 풍토가, 역사가 가르칠 수 있는 것이다. 굴곡과 희노애락에서 인생이 빛난다는 사실, 화려하든 소박하든 '삶'을 살아나가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 존경할 만하다는 사실은 보고 배워야 할 일이지 그런가보다 할 일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사람들은 '편하게' 사는 법을 찾기 시작했다. 언젠가부터 사람들은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기 시작했고, 언젠가부터 세상은 돈을 위주로 돌아갔으며, 언젠가부터 아이고 학부모고 너나할 것 없이 입시의 꿈에 목을 매달기 시작했다. 버는 대로 누리는 세상, 돈만이 무언가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세상으로 뒤집혀 버렸다. 그래서인지 12년 동안의 투자로 나머지 한평생이 편할 수 있다는 출처 모를 이데올로기가 검버섯처럼 퍼지기 시작했다. 새삼스럽지만 인생 초반의 12년이 나머지 인생을 결정한다는 것처럼 삶을 모욕하는 아이디어가 있을까? 그러나 사람들은 이것을 받아들이고 믿고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그것도 요 수 년 전부터. 갑자기.
그러는 사이 인생수업은 뒷전이 되었다. 세상이 마음먹은 대로 움직이지는 않고 삶에 언제나 봄날만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말은 교과서에서도 들어 알고 있다. 그러나 그런 건 앞서 말했듯이 사회적 분위기 아래서 몸소 겪으며 혹은 본받으며 배우지 않고는 의미가 없다. 이렇게 부질없는 개념 학습만 대강 해 두고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대학 붙으면 뭘 할까, 이번 행정고시 경쟁률은 좀 떨어졌을까 하는 생각이나 하며 구차하고 코앞에 닥친 나날에만 급급하게 된 것이다. 인생은 80부터라고 말은 하고 1분 뒤와 10년 뒤를 동시에 생각하며 꿈꾸는 자만이 미래를 본다고 말은 하지만 실제로는 당장 그날그날 쪽지시험 치는 것만 생각해 보아도 하루살이 인생을 훈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세월이 얼마간 지났다. 세상에 나와 보았다. 듣기로는 세상은 거칠고 인생은 알아서 살아가는 거라는데, 그런 건 잘 모르겠고 내 인생 이십몇 년이란 책상 앞에 앉아 딕셔너리 넘기듯 번뜩이는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로만 남아 있다. 이제 뭐 하고 살까, 뭐 그건 방학숙제처럼 적당한 때 되면 어떻게 되겠지 하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몇 달간은 알바나 뛰어야겠는데, 별안간 어떤 악플들이 나를 괴롭게 한다. 대책이 안 나온다. 너무 쓰라리다. 난 이런 건 감당할 수 없다. 저 창문 밖으로 나가면 땅에 닿을 때는 아플까. 죽으면 천국이 있다지. 그렇게 한 인생이 허무하게 찌그러진다.
그렇다. 최근 열심히 사는 사람이 천대받기 시작하고 편하게 사는 사람이 갑자기 우대받기 시작했다. 그래서 그 편한 삶을 얻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느닷없이 늘어났고, 그들은 열심히 사는 삶을 모른 채 여기저기서 나자빠지고 마는 것이다.
이대로는 안 된다. 우리 사회에서 '편한 삶'이라는 신기루를 없애지 않으면, 인생이라는 모래벌판에서 지프차가 없다며 드러누워버리는 사람이 더 생겨나고 말 것이다. 사회 제반 분위기가 바로잡혀야 한다. 교육체제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삶에 대한 총체적인 관심이 증대되어야 한다. 아니면 하다못해 드라마로라도 이전투구하는 삶을 보여주기라도 해야 한다. 함부로 살다 죽다 할 수 없다는 것, 자살을 뒤집으면 살자가 된다는 것, 노력이란 만화에 나오는 것처럼 한 번의 빅매치에서 이기는 게 아니라 58세에 들어서 보람차게 살았노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게 무슨 소리야? 누가 번역 좀 해 주세요.
+ 2013.7.29: 7년 전의 이 글은 오늘에 와서야 엇비슷하게 검증되는 것 같다.
'1 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무엇이든 믿어야 합니다 (2) | 2007.12.01 |
---|---|
뻔한 삶 (2) | 2007.12.01 |
소박한 꿈 (0) | 2007.12.01 |
원조성(Originality) (0) | 2007.12.01 |
공부 잘하는 법 (2) | 2007.12.01 |